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은 미생물 및 효소를 활용한 생물전환 기술로 유용소재의 대량샌상, 난용성 식품소재의 가용화 등의 연구와, 경제적인 방법에 의한 공정개선연구 및 실용화를 통한 산업화를 지향하는 연구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현재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분야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천연 고감미 소재발굴 및 생물전환을 통한 산업화

▶ 난용성 식품소재 가용화 기술 개발
▶ 미생물 및 효소를 이용한 유용 식품소재 및 생리활성소재 대량생산
- - 쌀 원료 이용 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식,미용 소재개발 활용
- - 쌀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탄수화물 소재 활용 기술개발 및 실용화
- - 쌀의 가수분해 이용 잔여물을 이용한 단백질 소재화 및 제품화
▶ 경제성을 고려한 식품공정개선 및 개발
주요 연구실적
- Synthesis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affeic acid glycoside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dextransucrase.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65:2743-2750 (2017)
- L-lactic acid production by combined utilization of agricultural bio resources as renewable and economical substrates through batch and repeated-batch fermenta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RKY1. Bioresource Technology 209:187-194 (2016)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lucosyl stevioside using Leuconostoc dextransucrase. Food Chem 211:577-582 (2016)
- Structural elucidation of the cyclization mechanism of alpha-1,6 glucan by Bacillus circulans T-3040 cycloisomalto-oligosaccharide glucanotransferase. J Biol Chem 289:12040-12051 (2014)
- Novel dextranase catalyzing cycloisomalto-oligosaccharide-formation: Identification catalytic amino acids and their functions newly revealed by chemical rescue approach. J Biol Chem 287:19927-1993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