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소개
에너지원으로서 재생산 가능한 셀룰로오스계의 바이오연료를 식물체로부터 대량 공급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과학적 방안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식물의 환경요인으로 인한 천연재해로부터 식물생산 수율 증가, 열악한 환경에서 생장할 수 있는 식물체의 개발 및 식물의 성장발달 조절을 통한 바이매스의 증진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은 움직일 수 없는 고유한 특성 때문에 식물체의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은 호르몬, 빛, 대사 네트워크, 식물 성장 및 발달 등 시스템적으로 대응하여 적응한다. 따라서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복잡한 변화의 네트워크가 규명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실은 식물성장 및 발달 조절과 외부스트레스환경에 대한 식물반응을 조절하는데 주요한 세포신호전달경로를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디자이너에 기초한 식물성장 및 발달 그리고 환경저항성 조절을 통하여 바이오매스 증진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과제는
1. 식물호르몬 옥신의 세포신호전달 연구
2. 식물발달 및 뿌리체계 조절 전사인자의 작용 분자기전 및 유전자조절 네트워크 연구
3. 저온신호의 인지 및 세포신호전달과정과 식물호르몬 네트워크 규명
4. 식물 펩타이드 신호분자의 기능과 수용체 단백질에 의한 세포신호전달 연구
주요 연구실적
- Eunkyoo Oha, Pil Joon Seoa, and Jungmook Kim* (2018). Signaling peptides and receptors coordinating plant root development. Trends in Plant Science 23: 337-351. a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ing author.
- Han Woo Lee, Na Young Kang, Shashank K. Pandey, Chuloh Cho, Sung Haeng Lee, and Jungmook Kim* (2017). Dimerization in LBD16 and LBD18 transcription factors is critical for lateral root formation. Plant Physiology 174: 301-311. *Corresponding author.
- Jin Jeona, Chuloh Choa, Nguyen Van Binh, Mi Rha Lee, and Jungmook Kim* (2016). CYTOKININ RESPONSE FACTOR2 (CRF2) and CRF3 regulate lateral root development and the response to cold stress in Arabidopsis. Plant Cell 28: 1828-1843. a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ing author.
- Han Woo Lee, Min-Jung Kim, Moung Yeon Park, Kyung-Hwan Han, and Jungmook Kim* (2013). The conserved proline residue in the LOB domain of LBD18 is critical for DNA-binding and biological function. Molecular Plant 6: 1722-1725. *Corresponding author.
- Kim, H.J., Hyun, Y., Park, J.Y., Park, M.J., Park, M.K., Kim, M.D., Kim, H.J., Lee, M. H., Moon, J., Lee, I., and Jungmook Kim* (2004). A genetic link between cold responses and flowering time through FVE in Arabidopsis thaliana. Nature Genetics 36: 167-171. *Corresponding author.